용산개발 사업이 부도가 났다는 소식을 접한 이촌동 주민들은 패닉상태에 빠졌다. 개발지구 지정으로 인해 그동안 재산권 행사를 못 한 주민들은 소송과 집단행동을 불사할 예정이다. 권리금을 고스란히 날릴 처지에 놓인 점포 세입자들도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13일 용산사업 동의자 모임인 11개 구역 비상대책위(비대위)는 현재(오후 3시) 회의를 열고 지금까지 검토했던 소송 내용을 확정하는 등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2007년 8월 말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6년간 해당 지역 주민들은 재산권 행사에 제한을 받았다.
비대위 김찬 총무는 "허탈하고 참담한 심정"이라며 "소송이든 집회든 어떤 행동이라도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집단행동에 나설 조짐도 보인다. 용산사업 반대자 모임인 서부 이촌동 지번 총연합회 이복순 대표는 "부도 관련 이야기들이 나오면서 계속 사업 추진에 반대를 해왔었다"며 "이렇게 부도가 났으니 지역 해제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시가 이를 막을 경우 주민들과 검토해 법적 대응도 가능하다"며 조만간 주민들과 함께 서울시 주무부서에 직접 찾아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근수 서부 이촌동 연합비상대책위 위원장은 "개발 측은 주민의 의사 없이 법적 보상만 하고 무리한 분양가를 요구해 왔다"며 "원칙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업이었다"고 말했다.
지역 공인중개사와 인근 점포들도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서부 이촌동의 C 공인 관계자는 "이미 용산 일대가 땅값뿐만 아니라 아파트 가격까지 무수히 떨어졌다"며 "개발만을 기다렸던 주민들은 이미 패닉 상태"라고 현장의 분위기를 전했다.
용산 개발 위기로 인한 타격은 인근 상권들도 비켜갈 수 없었다. 이촌2동에서 15평 규모 프랜차이즈 치킨집을 운영하는 A씨는 "개발로 인해 인근 우체국과 철도가 사라지면서 매출이 3분의 1가량 줄어 타격이 크다"며 "(건물) 거래가 불가능하다 보니 7000~8000만원에 달하는 권리금을 고스란히 날리게 됐다"며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서울시 도시관리국 관계자는 "현재 사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PFV)와 코레일, 주주사들의 대책 방향을 보면서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 2013.03.13. 15:38
오늘의 핫뉴스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