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아파트값 평균이 인천 아파트값 평균을 뛰어넘는 가격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인천은 서울과 가까워 2011년까지만 해도 부산보다 아파트 평균 가격이 더 높았다. 하지만 최근 2~3년동안 수도권 주택시장은 침체한 반면 지방은 공급물량 부족,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활황을 맞아 크게 오르면서 가격이 역전됐다.
28일 부동산정보업체 ‘리얼투데이’가 국민은행 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산 아파트 매매가 평균은 작년 12월 2억465만원으로 같은 시기 인천의 매매가 평균 1억9662만원 보다 503만원 더 높았다.
국민은행이 지역별 평균 아파트 매매가 조사를 시작한 2011년 6월 당시만 해도 부산의 아파트값 평균은 1억9473만원으로 인천 아파트값 평균(2억1091만원)보다 1618만원 낮았다.
하지만 작년 1월부터 가격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2012년 1월 부산의 아파트값 평균은 2억702만원으로 인천(2억629만원)보다 100만원 가량 높았다.
인천 아파트는 수도권 주택 시장 침체 장기화와 더불어 송도 등 개발 지역 가격이 크게 오르지 못한 반면, 부산은 해운대 센텀시티, 화명 신도시, 대연동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오름세가 이어졌다. 국민은행 자료에 따르면 인천 아파트 매매가 평균은 2011년 1월부터 작년 12월까지 6.4%가 하락한 반면 부산 아파트 매매가 평균은 같은 기간 21.6% 올랐다.
인천 아파트 가격은 대전의 아파트 가격과도 별 차이가 없었다. 작년 12월 기준으로 대전의 아파트 매매가 평균은 1억9102만원으로 인천과 559만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리얼투데이 양지영 팀장은 “부동산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가격 역전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향후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