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올해 3명의 ‘대한민국 명장(名匠)’을 배출해 기능인 사관학교로서의 명성을 유지했다.
현대중공업은 28일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발표한 ‘2012년 대한민국 명장’에 김춘진 기장(사무직 과장급)과 김금만 기원(사무직 대리급), 허태영 씨 등 3명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한국산업인력공단과 고용노동부가 지난 1986년부터 선정한 대한민국 명장은 산업현장 동일직종에서 15년 이상 근무하며 기술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해당 분야에서 최고의 숙련기술을 보유한 기능인을 선발하는 제도다.
이번에 배관분야 명장으로 선정된 김춘진 기장은 1982년 현대중공업에 입사해 30년간 200만평에 달하는 세계 최대 조선소의 배관과 배관설비를 유지·보수·증설하는 업무를 맡아왔다. 김 기장은 선박이 진수될 때 평형수(Ballast Water) 주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보조장비(Jig)와 겨울철 수도 동파(凍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공기주머니를 개발하기도 했다.
기계조립분야 명장으로 선정된 김금만 기원은 31년간 현대중공업에서 선박용 대형엔진 조립업무를 수행하며 엔진조립 관련 매뉴얼을 개발하는 등 아이디어를 제안해 현대중공업이 세계 대형엔진 시장 1위를 유지하는데 기여했다. 김 기원은 지금까지 25건의 특허와 4건 실용신안을 출원하고, 3600여건의 업무 개선 아이디어를 회사에 제안해왔다.
지난 28년간 현대중공업에서 금속재료 시험평가업무를 수행한 허태영 씨는 금속재료시험분야 명장으로 선정됐다. 선박과 해양구조물의 품질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은 허태영 씨는 금속재료와 주조, 용접, 배관, 판금 제관 등 5개 분야 기능장과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3명의 명장을 포함해 지금까지 26명(재직자 16명, 퇴직 10명)의 대한민국 명장과 711명의 기능장(자격증 845개)을 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