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라고 하는 미국의 중앙은행제도는 연방준비위원회(FRB·Federal Reserve Board), 12개 주식회사 형태의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연방준비위원회와 연방준비은행의 대표로 구성하고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연방준비은행의 은행장을 선임하고 업무를 감독하는 연방준비은행 이사회(Board of Directors) 등 4개 기구로 구성돼 통화금융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연방준비위원회(FRB)는 줄여서 연준위 또는 연준이라고 부른다. 국내 언론이나 금융계에서는 이 연방준비위원회를 연방준비제도이사회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것은 연방준비제도를 잘못 이해한 바람에 비롯된 관행이라고 본다.
연방준비제도는 세 가지 방법으로 통화 정책을 수행한다. 첫째 공개시장조작(open market operations)을 통하여 유가증권을 사들이거나 팔면서 국가의 통화 공급량을 조절한다. 둘째 금융기관의 지불준비금(reserve requirements·은행이 고객들로부터 받은 예금 가운데 일정액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돈)을 올리고 내림으로써 대출 공급을 규제한다. 셋째 연방준비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빌리는 은행과 저축기관에서 지불하는 할인율(discount rate)을 조정하여 적정한 물가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통화 정책을 수행한다.
통화 정책에 추가하여, 연방준비제도는 증권회사를 통하여 매입한 증권 거래에 대한 보증금을 설정함으로써 계약 이행을 보증하며, 정부의 통화 정책에 협력하도록 금융기관을 설득한다. 연방준비제도의 통화 정책은 세금과 정부 지출로 수행하는 연방정부의 재정 정책과 다르지만, 물가와 실업을 억제하는 공통 목적을 분담하고 있다.
입력 2011.08.08. 04:04
오늘의 핫뉴스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