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증가와 식문화 변화로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이 약 30년전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08년 기준으로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54.9kg을 기록해 지난 1980년 27kg에서 103.3%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쌀 소비량은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주변 아시아국가와 비교 일본(57kg)보다는 적었으나 대만(34.5kg)이나 중국(37kg)보다는 많았다.
통계청은 "국민소득의 증가로 수산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소비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소비량이 2배로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수산물 자급률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지난 1980년 138%를 기록하던 수산물 자급률은 2008년 기준 78.5%로 43.1%나 줄었다.
수산물 자급률이 급감한 것은 수산물 소비가 늘어난 것에 비해 국내 생산량이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어업생산량은 311만2000톤으로 30년 전에 비해 29% 증가하는데 그쳤다.
수산물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자급률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말 수산물 수입액은 34억6000만 달러로 1980년 4000만 달러보다 90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수출은 같은 기간 136%만 늘었다.
통계청은 "80년대에는 내수용 수산물 수입금지의 영향으로 수입이 적었지만 1989년 수산물 수입자유화 조치 이후 수입이 증가했고 2001년부터는 수입액이 수출액을 상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30년간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생산 어종에도 변화가 생겼다.
1980년에는 쥐치, 멸치, 갈치, 명태 순으로 많이 잡혔지만 2010년에는 온수성 어종인 멸치, 오징어, 고등어 순으로 많이 잡혔다.
입력 2011.05.15. 12:44
오늘의 핫뉴스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