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벤처 지원 명목으로 지난 1998~2001년 투자, 코스닥시장에
등록한 53개의 업체 중 최소한 16개 업체가 내부자 거래와 뇌물 수수 등
대주주 비리에 관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7개 업체는 대주주 구속
등 이미 사법조치가 이뤄졌으며, 이 중 일부 업체는 정권 실세 관련
스캔들에 연관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은행이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에게 제출한 '산업은행의
중소·벤처기업 투자내역' 자료에 따르면, 이 은행은 지난 1998~2001년
중 290개의 벤처업체에 출자, 이 중 현재까지 53개 업체가 코스닥에
등록됐다.
그러나 이들 53개 업체 중 7개 업체는 이미 대주주 비리 사실이
발표됐으며, 나머지 9개 업체는 이미 비리혐의로 조사를 받았거나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금융당국은 확인했다.
산업은행 투자업체 중 동신에스엔티와 삼원정밀은 대주주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거나 주가 조작을 통해 거액의 시세차익을 남긴 혐의로
최근 구속됐으며, 지한정보통신과 콤텔시스템은 사장이 공무원, 은행
직원, 벤처투자기업 대표 등에게 뇌물을 준 혐의가 적발됐다. 또
통신기기업체인 H사, 건설업체인 D사, 기계업체인 D사 등이 비리 관련
조사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산업은행 벤처투자 관련 P 이사는 투자 업체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지난 3월 구속됐다. 구속된 이사 P씨는 김홍걸·최규선씨에게
뇌물을 준 업체에 산은 자금 110억원을 지원한 혐의였다. 또 산은이
투자한 다른 벤처기업은 유력 정치인의 사위에게 부당 이득을 준 혐의로
조사받았다.
이성헌 의원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정책적 목표 달성이 아닌 정치적
커넥션에 의해 벤처업체를 부당지원하는 사례가 빈발하다"고 말했다.
교보증권 임송학 투자전략팀장은 "벤처기업들이 산업은행의 투자를 대외
신뢰도를 높이는 방편으로 악용하는 경우가 있다"며 "산업은행은 투자
업체 선정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