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영(구속 기소)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쌍방울 그룹으로부터 뇌물을 수수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검찰이 최근 회사 고위 관계자들을 불러 이 전 부지사 아들의 취업 특혜 의혹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쌍방울에서 이 전 부지사 아들에게 월급 명목으로 제공한 돈에 대가성이 있는 것은 아닌지 추가로 확인해 이 전 부지사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3일 법조계 및 쌍방울 관계자들에 따르면, 수원지검 형사6부(부장 김영남)는 최근 쌍방울그룹 고위 관계자 A씨 등을 상대로 이 전 부지사 아들이 쌍방울 그룹 계열 연예 기획사 아이오케이에서 근무하게 된 경위, 그리고 아이오케이 근무와 학업을 병행한 내용 등을 집중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부지사 아들인 20대 중반 이모씨는 아이오케이에서 11개월간 근무하며 영상 촬영 및 편집과 관련된 업무를 맡았다고 한다. 아이오케이 대표이사 등 고위 관계자가 채용 면접에 직접 참여했으며, 이 전 부지사 아들은 최저임금 수준의 월급을 받다가 작년 상반기쯤 퇴사했다고 알려졌다.
이씨는 서울 서대문 소재 학점 은행제 평가 인정 교육 기관에 다녔는데, 검찰은 이 기간이 아이오케이 근무 기간과 일부 겹친다고 보고 A씨 등을 불러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이 전 부지사 아들이 근태가 좋았고 사내에서 성실하다는 평가를 받았다”며 “(교육 기관) 출석부가 사실과 조금 달랐던 것으로 안다”는 취지로 검찰에 진술했다고 한다.
A씨는 검찰 조사 당시 이 전 부지사 아들의 근태를 확인하기 위해 담당 직원과 통화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방용철(구속 기소) 쌍방울 그룹 부회장도 지난달 수원지법 형사11부(재판장 신진우)에서 열린 이 전 부지사 공판에 출석해 이 전 부지사 아들이 아이오케이에서 근무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이 전 부지사는 쌍방울 그룹으로부터 대북 사업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3억여 원의 뇌물과 정치 자금을 받은 혐의로 작년 10월 기소됐다. 검찰은 이 전 부지사를 쌍방울 그룹 대북 송금에 관여한 혐의(외국환거래법 위반)로 지난달 추가 기소했다. 김성태(구속 기소) 전 쌍방울 그룹 회장이 2019년 800만달러를 북측에 건네는 데 이 전 부지사가 관여했다는 게 검찰 시각이다.
검찰은 이 전 부지사 요구로 김 전 회장이 경기도를 대신해 스마트팜 비용을 북측에 건넸다고 보고 있다. 이 전 부지사 측은 쌍방울이 대북 사업권을 얻고 주가를 띄우기 위해 독자적으로 북측에 자금을 건넸으며 경기도는 관여한 적 없다는 입장이다. 이 전 부지사 측 변호인은 추가 기소 당시 “혐의를 인정할 수 없다”며 “500만달러는 쌍방울의 대북 사업 합의 대가에 대한 계약금”이라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