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1.01.14 16:19
| 수정 2021.01.14 17:38
직장인 고은수(28)씨는 작년 3~4월 급락장에서 일어났던 ‘동학개미운동’ 때도 주식투자를 하지 않았다. 주식에 영 소질이 없다고 생각했던데다 종잣돈도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 초 코스피지수가 3100을 뚫자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고씨는 "사람들이 모이기만 하면 주식 얘기를 하다 보니 혼자 뒤처지는 기분이 든다"며 "적금 이자는 쥐꼬리만 한데 이런 상승장에 주식을 안 하면 벼락 거지가 될까 두려워 주식을 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주식 활황에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은 비단 고씨뿐이 아니다. 직장인 박모(31)씨도 "요즘 모든 자산이 버블이라 월급만으로 먹고 살 수 없는 세상이 됐는데, 주식에서라도 수익을 내야 거지는 면할 것 같다"고 했다. 직장인 안모(29)씨 역시 "직장인 커뮤니티에서 주식으로 몇억, 몇천을 벌었다는 글을 보면 배가 아프다"라며 "돈이 돈을 낳는 현상을 구경만 하고 있을 순 없다"고 전했다.
주식 활황에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은 비단 고씨뿐이 아니다. 직장인 박모(31)씨도 "요즘 모든 자산이 버블이라 월급만으로 먹고 살 수 없는 세상이 됐는데, 주식에서라도 수익을 내야 거지는 면할 것 같다"고 했다. 직장인 안모(29)씨 역시 "직장인 커뮤니티에서 주식으로 몇억, 몇천을 벌었다는 글을 보면 배가 아프다"라며 "돈이 돈을 낳는 현상을 구경만 하고 있을 순 없다"고 전했다.

연 초부터 코스피지수가 랠리를 이어가며 지난 11일 장 중 3200까지 돌파하자 미리 주식 투자에 나서지 못했던 사람들이 너도나도 주식 투자에 뛰어들고 있다. 유례 없는 상승장 덕에 주변에서 돈을 벌었다는 말이 자주 들리자, 이들 투자자들은 ‘이러다가 나만 돈을 못 버는 게 아니냐’는 공포심마저 느끼는 상황이다.
집값 급등 탓에 부동산 시장에서 소외된 이들을 중심으로 주식 시장에서라도 기회를 잡으려 하는 움직임도 감지됐다. 아무래도 주식 시장이 부동산 시장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부동산 투자는 초기 자본이 커야 한다는 점이 부담이지만 주식 투자는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다"며 "대출 이율이 낮아 투자금 마련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도 요즘 주식 시장의 매력 요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무턱대고 주식 투자를 하는 건 위험한 측면이 있지만 나름대로는 합리적인 선택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문제가 자산 불평등을 너무 키웠기 때문에 이번 강세장에서만큼은 소외될 수 없다는 판단이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 퍼져 있다는 것이 구 교수의 생각이다. 자산 가격 상승 랠리에 동참하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포모(FOMO·소외 공포증) 심리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포모 심리란 부동산과 암호화폐, 주식 등 모든 자산이 부풀려지는 상승장에서 소외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을 말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대기자금이라고 여겨지는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12일 기준으로 74조4559억원으로 집계됐다. 투자자들이 빚을 내서 투자한 규모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인 신용공여 잔고도 20조7871억원 수준이다. 모두 사상 최고치다.
직장인 이모(33)씨는 "요즘처럼 변동성이 큰 장에는 잠깐 빌려 수익을 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이 기회에 ‘한 몫’ 챙겨야 한다는 생각도 있다"고 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본인의 투자금을 가지고 좋은 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건 바람직한 일"이라면서도 "막차라도 타야 한다는 불안감에 앞뒤 안 가리고 투기식으로 투자하는 건 지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용태 갤럭시자산운용 전무는 "충분히 공부가 되지 않은 투자자들이 중소형주를 사고 나서 단기 수익을 얻으려 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김 전무는 "변동성이 있을 때 안달하고 불안해하는 모습은 초보 동학 개미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이럴 때 일수록 본인이 투자한 기업을 제대로 공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시장 분위기가 좋다고 해서 모든 주식이 다 오르는 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며 "투자 수익은 노력과 공부로 얻어지는 결과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유튜브나 도서 중에서도 검증되지 않은 콘텐츠들이 넘쳐나는데, 제대로 된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을 구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집값 급등 탓에 부동산 시장에서 소외된 이들을 중심으로 주식 시장에서라도 기회를 잡으려 하는 움직임도 감지됐다. 아무래도 주식 시장이 부동산 시장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부동산 투자는 초기 자본이 커야 한다는 점이 부담이지만 주식 투자는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다"며 "대출 이율이 낮아 투자금 마련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도 요즘 주식 시장의 매력 요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무턱대고 주식 투자를 하는 건 위험한 측면이 있지만 나름대로는 합리적인 선택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문제가 자산 불평등을 너무 키웠기 때문에 이번 강세장에서만큼은 소외될 수 없다는 판단이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 퍼져 있다는 것이 구 교수의 생각이다. 자산 가격 상승 랠리에 동참하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포모(FOMO·소외 공포증) 심리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포모 심리란 부동산과 암호화폐, 주식 등 모든 자산이 부풀려지는 상승장에서 소외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을 말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대기자금이라고 여겨지는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12일 기준으로 74조4559억원으로 집계됐다. 투자자들이 빚을 내서 투자한 규모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인 신용공여 잔고도 20조7871억원 수준이다. 모두 사상 최고치다.
직장인 이모(33)씨는 "요즘처럼 변동성이 큰 장에는 잠깐 빌려 수익을 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이 기회에 ‘한 몫’ 챙겨야 한다는 생각도 있다"고 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본인의 투자금을 가지고 좋은 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건 바람직한 일"이라면서도 "막차라도 타야 한다는 불안감에 앞뒤 안 가리고 투기식으로 투자하는 건 지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용태 갤럭시자산운용 전무는 "충분히 공부가 되지 않은 투자자들이 중소형주를 사고 나서 단기 수익을 얻으려 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김 전무는 "변동성이 있을 때 안달하고 불안해하는 모습은 초보 동학 개미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이럴 때 일수록 본인이 투자한 기업을 제대로 공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시장 분위기가 좋다고 해서 모든 주식이 다 오르는 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며 "투자 수익은 노력과 공부로 얻어지는 결과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유튜브나 도서 중에서도 검증되지 않은 콘텐츠들이 넘쳐나는데, 제대로 된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을 구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