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1.01.13 12:00
치료 어려운 ‘중간엽형 위암’… 암세포 죽이는 신규 유전자 발견

국내 연구진이 위암 중에서도 치료가 어려운 암종인 ‘난치성 위암(중간엽형 위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상철·이은우 대사제어연구센터 박사 연구팀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연세대 의과대학과 함께 이런 연구성과를 얻었다고 13일 밝혔다.
위암은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 기준 국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매년 100만명 이상이 위암에 걸리는 것으로 집계된다.
위암 중에서도 치료가 유독 어려운 경우가 있다. 위암은 암이 생기는 세포 종류에 따라 상피형 위암과 중간엽형 위암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중간엽형 위암은 전이가 빠르고 기존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며 재발 확률이 높아 ‘난치성 위암’으로 불린다. 난치성 위암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30% 미만으로 보고된 바 있다.
연구팀은 ‘페롭토시스’라는 세포사멸 과정을 통해 중간엽형 위암의 치료 가능성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발견한 ‘ELOVL5’ ‘FADS1’라는 유전자들은 암세포가 죽기 위해 필요한 ‘지질과산화’ 작용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몸속 환경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로 암세포가 죽는 ‘페롭토시스’ 현상이 활발히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 박사는 "새로 발견한 유전자들과 페롭토시스 작용을 조절하는 연구를 통해 난치성 위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지난달 7일 게재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상철·이은우 대사제어연구센터 박사 연구팀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연세대 의과대학과 함께 이런 연구성과를 얻었다고 13일 밝혔다.
위암은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 기준 국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매년 100만명 이상이 위암에 걸리는 것으로 집계된다.
위암 중에서도 치료가 유독 어려운 경우가 있다. 위암은 암이 생기는 세포 종류에 따라 상피형 위암과 중간엽형 위암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중간엽형 위암은 전이가 빠르고 기존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며 재발 확률이 높아 ‘난치성 위암’으로 불린다. 난치성 위암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30% 미만으로 보고된 바 있다.
연구팀은 ‘페롭토시스’라는 세포사멸 과정을 통해 중간엽형 위암의 치료 가능성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발견한 ‘ELOVL5’ ‘FADS1’라는 유전자들은 암세포가 죽기 위해 필요한 ‘지질과산화’ 작용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몸속 환경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로 암세포가 죽는 ‘페롭토시스’ 현상이 활발히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 박사는 "새로 발견한 유전자들과 페롭토시스 작용을 조절하는 연구를 통해 난치성 위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지난달 7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