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매각 현실 가능성 낮다며 반대
"법정관리 통해 이상직 배임·횡령 혐의부터 확인해야"

이스타항공이 자구책을 모색하기 위해 사모펀드를 비롯한 기업 여러 곳과 접촉하며 재매각 작업에 돌입했다. 사측은 인수자부터 찾아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노조 측은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책임론을 내세우면서 회사가 하루빨리 법정관리(회생절차)를 신청해야 한다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노조는 "현실적으로 지금 회사가 팔릴 가능성은 없다"고도 했다.

31일 금융업계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사모펀드 3곳, 일반 기업 2곳과 재매각을 논의하고 있다. 이스타항공 측은 "진행 초기 단계로 아직 구체적인 조건이 언급되는 상황은 아니지만 제3의 인수자는 투자를 통한 유상증자로 들어오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4일 오후 서울 김포공항 주기장에 세워진 이스타항공 여객기 뒤로 제주항공 여객기가 이륙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스타항공이 운항 재개 등 자구안을 포함한 ‘플랜B’를 제시해야만 자금 지원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동시에 법정관리에 대비해 후속 조치 마련에 나섰다. 29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출석해 "이스타항공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될 것 같은데, 고용노동부와 함께 후속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스타항공 측은 법정관리에 앞서 새로운 투자자부터 찾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회생보다는 청산 절차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스타항공 경영진은 "당장 비행기를 1대도 못 띄우고 있는 상황이라 회생 판정을 받을 가능성이 제로(0)에 가깝다"면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회사를 살려볼 것"이라고 했다.

현재 이스타항공은 외부 자금이 수혈되지 않으면 자력으로는 운영 재개조차 힘든 상황이다. 지난 3월부터 전 노선 셧다운에 들어가 5개월째 매출이 전무한데, 이미 상실한 운항 증명(AOC) 효력을 되살리는 데만 3개월가량이 소요된다. 여기에 매달 리스비·통신료 등 250억원의 빚이 새로 쌓이고 있다. 이에 사측은 자구책으로 전 직원 대상 3개월 무급휴직을 추진하려 했지만, 회사가 파산할 경우 최종 임금의 3개월 치를 기준으로 지급되는 퇴직금과 휴업수당 등 체당금을 직원들이 받지 못하게 될 수 있어 계획을 철회했다.

이스타항공의 유일 노조인 조종사노조 측은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게 최선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박이삼 이스타항공 노조위원장은 "회생 불가 판정을 받을까 걱정되기도 하지만, 정부 기조 등을 고려할 때 회생 절차를 밟으면 기회라도 다시 얻을 수 있지 않겠느냐"면서 "이상직 의원이 이스타에서 손을 모두 털고 나가야 정부 지원 등이 수월하게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의원 일가의 배임·횡령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정부 역시 특혜 시비가 부담돼 지원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박 위원장은 "현재 접촉하고 있다는 사모펀드 등의 정체가 불분명하고 사실상 새로운 인수자가 나타나긴 쉽지 않아 보인다"며 "법정관리에 들어가 회사가 설립된 후 이스타홀딩스(이스타항공 최대주주)와 타이이스타젯(이스타항공의 태국 현지 총판) 등에 흘러간 자금 흐름을 모두 파악해야 하고, 회계 감사를 철저히 받은 뒤 새 경영진이 들어와야만 회사가 다시 살 수 있다"고 했다. 앞서 이스타노조는 지난 29일 이 의원을 조세포탈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사측과 노조 측이 평행선을 달리는 와중에 이상직 의원은 다음 주쯤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와 함께 ‘이스타항공 살리기’를 위한 청사진을 밝힐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지난 28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금은 회생하고 좋은 투자자를 만나는 게 중요하다"며 "(내가) 논란을 없애기 위해 지분을 헌납했고 그간 경영자가 있어서 한발 비켜서 있었는데, 불이 났으니 불부터 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노조 측은 "이 의원은 사태가 이 지경이 될 때까지 일언반구 않더니 이제 와선 책임 회피에 급급하다"며 "이 의원 일가가 헌납하겠다고 한 주식도 여전히 그대로 들고 있는 등 공염불에 불과했고 끝까지 단 1원도 내놓으려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