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업데이트 지연까지… 앱 믿고 찾은 이용자들 헛걸음
공적 마스크 판매 현황 등을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앱)과 웹 서비스가 11일 공식 개시됐지만 접속자가 몰리면서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 서버에서 갑자기 늘어나는 트래픽(접속량)을 감당하지 못한 탓이다. 앱 개발자 측은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정부 측 서버가 미비해 일어난 장애라고 주장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전날 개발사들에 공문을 보내 "공적 마스크 데이터를 테스트한 뒤 정식 서비스는 11일 아침 8시부터 시작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굿닥과 똑닥·웨어마스크·마이마스크·콜록콜록마스크 등을 내놓은 개발사 10여곳이 내부 테스트를 거쳐 정식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서비스 개시 직후 이용자들의 접속이 급증하며 각 앱과 웹 서비스에서는 이날 오전 접속 지연 현상이 잇따라 나타났다. 굿닥 측은 "접속자 수 폭주로 로딩이 지연되고 있다"며 "잠시 후 다시 확인해 달라"고 공지했다. ‘똑닥’ 측도 "공공데이터 포털 마스크 재고 조회가 지연되고 있다"며 "지도 위치 변경 및 새로 고침 버튼을 통해 잠시 후 다시 확인해 달라"고 했다.
이처럼 각 서비스들이 일제히 지연 현상을 나타낸 것과 관련해 업체들은 민간 개발자들에게 API(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형태의 가공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 문제라고 설명했다. 마스크 재고는 전국 각 2만3000여개 약국이 마스크 판매 현황을 실시간으로 알리면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NIA에 전달하고, NIA가 데이터를 웹이나 앱으로 개발할 수 있는 형태로 민간에 공개하는데, 정부 측 서버에 과부하가 걸린 것이다.
마스크 재고 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업체 관계자는 "앱을 제공하는 업체 서버에는 문제가 없고 심평원 서버 문제로 보인다"며 "심평원 등 정부에서 민간에 데이터가 넘어오는 과정에서 원활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발표만 믿고 서비스를 기다렸던 이용자들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서버가 터져서 확인도 안 되는데 답답하다" "심평원 서버가 먹통인 탓에 정보를 제공하는 약국들도 불편을 겪고 있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반면 심평원 측은 이날 서버 과부하로 지연 현상이 나타난 것은 맞지만, 이는 심평원과 약국 간의 문제일 뿐 민간 앱 서비스가 느려진 것과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심평원 관계자는 "약국 여러 군데서 동시에 심평원에 접속하다 보니 잠시 느려졌었다"며 "다만 심평원이 약국으로부터 모은 데이터를 민간 업체에 제공하는 곳은 NIA이기 때문에 앱 문제는 우리와 직접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서버가 원활하지 못한 탓에 업데이트가 느려지며 잘못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도 빈번한 것으로 전해졌다. 앱에는 마스크에 재고가 있다고 해서 갔더니 실제로는 없는 경우가 부지기수인 것이다.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들은 "마스크 판매하면서 심평원 전산에 구매 현황까지 입력해야 하는데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게 쉽지 않다"며 "서버까지 먹통이 된 바람에 뒤늦게 기입하려 해도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