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는 중국 파트너사인 리브존제약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스타프라잔(제품명 자큐보정)’의 기술이전 마일스톤을 청구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이번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리브존으로부터 300만달러(한화 43억7400만원)의 기술료(마일스톤)를 받은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이번에 생산을 위한 양산기술(CMC) 이전 작업을 완료하고 추가로 150만달러(21억8700만원)를 청구했다.
앞서 온코닉은 지난 2023년 3월 10일 리브존과 자스타프라잔의 중화권(중국·대만·홍콩·마카오) 내 개발, 허가, 생산·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부여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계약금 1500만달러(200억원)를 포함해 총 1억2750만달러(1650억원)다. 이후 인도, 멕시코·남미와 추가 기술이전 계약을 맺으며 21개국으로의 글로벌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 2023년 체결된 중국과의 계약이 가장 앞선 단계에 있다.
자스타프라잔은 지난해 4월 국산 신약 37호로 허가받아, 10월부터 자큐보라는 제품명으로 본격적인 판매가 시작됐다. 올해 1월 위궤양으로 치료 대상 질환을 확대해 임상 3상을 마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허가 신청을 제출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신약으로 허가를 받은 38개의 의약품 가운데 실질적으로 매출이 성장했거나 해외 임상 3상에 진입한 사례는 드물다. 그러나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CAB) 계열 신약들은 국내 최초로 연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한 차별화된 신약군이다. 온코닉의 자큐보 역시 국내외 시장에서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온코닉은 지난해 매출 148억원으로 자큐보 출시 이후 2년간 누적 매출 35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첫 번째 연간 실적을 통해 국내 신약 매출의 본격적인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자스타프라잔은 국내외에서 신약으로서의 가치를 입증해가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이전 성과와 임상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확대를 가속화할 계획”이라며 “중국 리브존과의 협력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향후 실질적인 매출·로열티 수익이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