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일도, 구직도 하지 않고 쉰 청년이 1년 전보다 12%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계엄 사태와 내수 침체 등이 고용 지표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청년층 인구는 줄었으나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청년은 오히려 늘었다. 근무시간이 적어 일을 더 하고 싶어 하는 ‘불완전 취업자’도 큰 폭으로 늘었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41만1000명을 기록했다. 1년 전(36만6000명)에 비해 12.3% 증가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청년층 전체 인구는 805만5000명으로, 전년(830만6000명) 대비 3% 감소했다.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취업 관련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뉴스1

쉬었음 인구는 뚜렷한 이유 없이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들로,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12월 기준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 48만5000명을 기록했다가 2021년(40만9000명)부터 2022년(40만6000명), 2023년(36만6000명)까지 매년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연간으로 봐도,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2020년(44만8000명)이후 최대치다. 지난해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42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2만1000명 늘었다.

지난해 12월 기준 청년층 실업자도 전년 대비 2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2023년 5.5%에서 지난해 5.9%로 0.4%포인트(p) 상승했다.

일자리를 구한 청년들의 상황도 좋지 않다. 지난해 12월 기준 청년층의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 수는 13만3000명으로 1년 전(9만7000명) 대비 37.4% 늘었다. 2020년 이후 첫 증가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통계청 조사에서 ‘현재 하는 일의 시간을 늘리고 싶다’, ‘현재 하는 일 외 다른 일도 더 하고 싶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수 있는 일로 바꾸고 싶다’고 응답한 경우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통계상 취업자로 잡히지만, 임시 또는 단기 일자리가 많아 ‘불완전 취업자’로도 불린다. 정규직 일자리가 한정된 상황에서 청년들이 단시간 일자리에 뛰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장기 백수’ 상태인 청년들의 수는 증가세다.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미취업 기간이 3년 이상인 청년은 23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2만명(9.3%) 증가했다. 미취업 기간이 6개월 이상∼1년 미만인 청년도 1년 새 2만명(12.4%)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