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은행(SVB)과 모기업인 ‘SVB 파이낸셜 그룹’이 스타트업 업계를 주름잡는 금융기관이 되기까지는 40년이 걸렸지만, 붕괴하기까지는 36시간밖에 걸리지 않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이하 현지 시각) ‘실리콘밸리가 SVB를 켜는 방법’이라는 기사에서 SVB가 초고속으로 파산한 배경에는 스마트폰이 있다고 분석했다. SVB가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스타트업 업계를 중심으로 스마트폰으로 쉽게 예금을 인출하면서 SVB가 쉽게 파산했다는 것이다.

파산한 SVB 로고. / 로이터

보험 스타트업 ‘커버리지 캣’ 설립자인 맥스 조가 목격한 광경은 이같은 분석에 힘을 싣는다. 조는 지난 9일 몬태나주 빅스카이에서 열린 스타트업 창업자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보즈먼 공항에서 내려 버스로 갈아탔을 때 동료들이 미친 듯이 휴대전화를 두드리며 예금을 이체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WSJ에 “뱅크런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SVB가 9일 영업을 마감할 때까지 SVB 고객들은 420억 달러를 인출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미 캘리포니아주 금융보호혁신국은 10일 오전, SVB가 문을 열기도 전에 SVB를 폐쇄하고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를 파산 관리자로 선임했다. 그렇게 이틀도 걸리지 않아 미국 역사상 두 번째로 큰 은행 파산이 벌어졌다.

SVB 파산에 불을 댕긴 건 SVB가 8일, 미국 국채로 구성된 매도가능증권을 매각해 18억 달러 규모의 손실을 입었다며, 현금 조달을 위해 주식을 매각할 것이라고 발표한 영향이 컸다. SVB 주식은 9일 개장과 동시에 폭락했고, 스타트업 업계가 많이 쓰는 소셜미디어 ‘슬랙’에서 이 소식이 전해지면서 뱅크런을 키웠다. WSJ은 “소셜미디어는 번개처럼 빠른 속도로 전 세계의 사실과 허구를 모두 전송했다”며 “겁에 질린 고객은 휴대전화를 꺼내 은행 앱을 열었고, 몇 번의 탭과 스와이프만으로 돈을 인출했다”고 말했다.

SVB 파산으로 실리콘밸리는 혼란에 휩싸였다. 제때 돈을 인출하지 못한 고객은 앞으로 자신이 맡겼던 돈을 찾을 수 있을지조차 모르는 상태다. 스타트업과 투자자들은 SVB 파산 직후 예금을 대신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일부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개인 신용 카드로 비용을 지불했고, 일부는 고객에게 새 은행 계좌로 자금을 입금해달라고 요청 중이다.